블로그 이미지
춤추는고양이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33)
일상다반사 (67)
슬기로운 자전거생활 (27)
여행기_My voyage (49)
재테크 (3)
옥수사진관 (39)
음악 (35)
읽은 책들 (11)
Total
Today
Yesterday
반응형
내가 신고 있는 사이클링 슈즈는 디아도라 볼텍스 프로 모델이다. 디아도라는 한국인의 족형에 알맞은 편안한 신발을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현재 사이클링 슈즈를 생산하지 않고 있다.
 
언젠가부터 라이딩시에 오른쪽과 왼쪽의 보아가 조금씩 풀리기 시작했다. 아니 많이 .. 특히 힘을 많이 받아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오른쪽의 보아가 많이 풀려서, 라이딩시에 종종 다시 보아를 돌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물론 클릿슈즈를 바꾸고 싶은 마음은 이미 굴뚝에서 연기가 펄펄 나고 있지만 가난한 소시민이 한켤래에 5,60만원씩 하는 클릿슈즈를 갑자기 바꾸기에는 쉽지가 않았다. 사실, 본트 베이포 S 모델이 가지고 싶었다. 예전에 할인할때 사 뒀어야 하는데, 살까말까 고민하다가 내게 맞는 사이즈가 soldout이 되어버렸다.
 
자, 각설하고, BOA는 Lifetime warranty를 제공한다. 그래서 보아 홈페이지에 가서 간단한 정보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보아 수리킷을 무료로 보내준다. 단, 보아 수리킷은 보아 다이얼, 와이어에 해당되고 보아 본체는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아 본체가 파손된 경우에는 전문 수리점 등에 수리를 맡겨야 한다.
 
 
BOA Warrainty 신청은 이곳에서 하면 된다. 수령은 간단한 스펙(사진, LI2 모델인지, 색상)과 주소지를 입력하고, 마지막에 송달방법(무료 우편 or 유료 서비스)를 선택하면 된다.
 
 
워런티 클레임을 신청하면, 이메일로 해당 제품의 수량을 받을 수 있는데 내 클릿슈즈에는 한쪽에 2개씩 총 4개(왼쪽 2개, 오른쪽 2개)의 보아가 필요하다. 메일로 확인한 수량은 1개분(왼쪽, 오른쪽 1쌍)이기 때문에 수령한 뒤에 다시 워런티를 접수해서 총 2쌍의 보아를 받았다. 신청 후 수령까지는 약 1주일 가량 걸렸다.(워킹데이 5일 정도.)
 



 
BOA 워런티를 신청해서 받은 보아 수리키트
 
수리키트를 열어 보면 이렇게. 1) 보아 왼쪽/오른쪽 세트 2) 와이어 2개 3) 나사를 풀 수 있는 드라이버가 있다.
 
 
교체가 필요한 구보아 버튼???와이어?
 
 
보아의 영문자 O의 사이에 구멍이 있다. 그곳에 드라이버를 넣고 돌린다.
 
그럼 보아가 분리된다. 보아는 1. 보아 2. 나사 3.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1. 보아. 자세히 보면 보아의 이빨이 마모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구멍에 드라이버를 넣고 보아 나사를 꺼낸다. 나사는 와이어가 묶여 있다.
 
 
와이어는 한쪽 방향으로 묶여 있는 걸 볼수 있다. 나사에 묶여 있는 와이어가 어떤 형태로 묶여 있는지 잘 기억해야 한다. 어렵지 않다.
 
 
보아 하우징의 모습. 이것도 많이 마모된 것을 볼 수 있다. 근데 이 하우징은 교체아 어려우니 PASS
 
마모된 보아.
 
 
와이어를 풀러준다.
 
 
쭉쭉 당겨서 와이어를 푼다.
 
새 보아야 헌 보아의 차이. 이빨을 보면 알수 있다. 헌 보아는 이빨이 마모되어 있다.
 
와이어 교체를 위해서 와이어의 길이를 재본다. 근데, 내 신발의 안쪽에 있는 tag에는 보아의 길이가 적혀 있다. 아래 쪽은 4.5cm, 위쪽은 3.5cm이다.
 
보아 와이어의 길이
 
와이어 절단
 
다시 와이어를 끼워 준다. 와이어를 끼울 때에 주의할 점은. 신발의 코받침을 잊지 말고 끼워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조립을 다 한 뒤에 다시 분해해야 한다. 
 
 
아래쪽 보아를 수리하고, 위쪽 보아도 수리한다.

 

 
이번엔 왼쪽 신발의 보아를 수리한다.
 
 
수리 완료. 
 
수리가 완료된 클릿슈즈의 상태는 새것 같았다. 물론 보아만 새것 같았다. 본트 베이퍼S 사고 싶다. 신어보고 싶다. 얼마나 가볍고 편할까, 그러면 얼마나 패달링이 경쾌해 질까...궁금해.
반응형
Posted by 춤추는고양이
, |
반응형

내가 직구했던 사이트를 정리해 봐야겠다.

잊지 않기 위한 포스트

반응형
Posted by 춤추는고양이
, |
반응형

와우!!!!!!!!!!!!

제목과 같다.

위글과 체인리액션 사이클의 온라인스토어가 돌아왔다.

위글, 체인리액션 사이클, 프로바이킷, 컴피테이티브 사이클리스트, 로드건은 한때 내가 직구를 하면서 가장 많이 이용했던 사이트였다.

특히, 체인리액션 사이클은 내가 MTB를 탈때부터 직구를 했던 사이트 였고, 구매총액이 99불 정도가 넘으면 한국까지 무료배송을 해 줬기 때문에 매우 많이 이용했던 사이트 였다. 위글, 체일리액션 사이클, 프로바이킷은 사이트를 내렸고 국내까지 배송도 해주지 않았었다. 원래 위글과 체인리액션 사이클의 관계는 체인리액션 사이클을 위글이 인수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때 본트 베이포S 슈즈를 샀어야해....).

 

오늘 내가 예전에 구매했던 싯포스트가 setback 인지, zero 인지 확인하기 위해 과거 체인리액션사이클에서 받은 메일의 invoice 링크를 눌렀는데 연결되는게 아닌가!!!!!!!!!!!!!!!!!!!!!!!!

 

지금 찾아보니, 체인리액션사이클을 인수했던 위글을 Frasers Group이란 곳이 인수를 했고, 경영정상화가 되었는지 지난 2024년 4월에 온라인스토어를 재개장 한 것 같다.

관련기사: Wiggle and Chain Reaction websites to be relaunched by Mike Ashley's Frasers Group | Cycling Weekly

 

Wiggle and Chain Reaction websites to be relaunched by Mike Ashley's Frasers Group

"Relaunch" set to take place next week, after Frasers Group acquired the brands

www.cyclingweekly.com

 

또한, 프로바이킷도 Frasers Group에서 인수한 뒤에 기존에 가지고 있던 에반스사이클과 합병한 것으로 보인다. 왜냐면 프로바이킷 사이트를 입력하면 에반스사이클로 연결이 된다.

관련기사: Sources confirm ProBikeKit is now part of Frasers Group

 

Sources confirm ProBikeKit is now part of Frasers Group

Earlier this week we saw reports emerge that online bike retailer ProBikeKit was a potential acquisition target for Evans Cycles owner Frasers Group, and today

cyclingindustry.news

 

어째튼 결론은 위글과 체인리액션 사이클이 돌아왔다.

한가지 아쉬운 부분은, 위글과 체인리액션 사이클 모두 예전에 사용한 계정으로 로그인을 시도했으나 로그인이 되지 않았다. 아마도, 그 전에 서버가 날아가면서 모든 데이터가 유실되었겠지..서버 운영비만 해도 큰 지출이니까.

 

그래도 좋다. 다시 가입하면 된다.

그 동안 저지며 빕이며 사지 않고 있었는데, 다시끔 쇼핑을 해야겠다. New Jersey! New Bib-Short!

반응형
Posted by 춤추는고양이
, |
반응형

2025년.

2019년을 마지막으로 대회 참가를 하지 않았다.

근데,

2025년에 홍천그란폰도에 참가했다. 무슨 바람이 분걸까. 

살이 5키로 넘게 쪘고, 자전거는 많이 타야 1년에 2천키로를 못탔다.

비루해진 몸뚱이로 120키로에 1900미터를 오르는 그란폰도라니.

예전에는 자전거 대회엘 나가면 무조건 그란폰도고, 애초에 메디오는 생각조차 한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 왜냐면 그란폰도도 어렵지 않게 완주 했으니까.

 

5키로 넘게 살이 찌고 몸도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라이딩은 캐힘들었다. 종아리가 아니라 허벅지에서 쥐가 났다. ㅋㅋㅋ

업힐은 시작하자마자 28티도 아니고 30티를 놓고 천천히 흘러갔다. 예전에 25티로도 그란폰도 다녔는데 그런건 다 옛날 일이다.

그래도 재미있었다.

 

근데., 분위기가 좀 바뀐부분이 있었다. 입상을 노리는 자들이 빠르게 타기 위해서 예전에는 대부분 앞에서 출발했는데, 지금은 뒤에서 출발하기도 한다. 그리고 중앙선을 자연스럽게 넘어간다. 불가피한 이유로 잠깐 넘어가는게 아니라, 계속, 넘어 달린다. 그리고 그것을 지적하는 사람들에게 "빠큐나 먹어라"라고 이야기 한다.

 

좋은 기록을 내기 위해서 인지는 몰라도, 그렇게 타면 대회에 참가한 모든 사람을 욕먹게 하는 것이다. 애초에, 자전거는 내연기관을 달아 놓은 자동차, 오토바이 보다 느리고, 도로 통제는 한쪽만을 한다. 대회를 한다고해도, 교통 통제를 해도 지역주민이 가장 우선이다. 그들이 불편하게 한쪽 길만 통제했는데, 양쪽 도로로 달리면 지역주민들이 피곤하고 불편해 진다. 그러면 나중엔 결국 대회도 사라질 것이다. "자라니 때문에"라는 단어와 함께.

 

대회에서 사고를 조심해야 한다. 자의던, 타의던, 내탓이던, 누구 탓이던, 다치면 나만 손해다.

 

안전하고 재미난 대회가 되면 좋겠다.

 

반응형
Posted by 춤추는고양이
, |
반응형

바텀 브라켓.

네이버 영영사전을 이용한 사전적 의미는 " object that is attached to a wall and used to support or hold up something (such as a shelf)" 이다.

선반과 같은 어떠한 것을 고정하거나 지지하기 위해 벽에 부착된 물체. 와 같이 간단히 해석된다.(발로해석..)

 

자전거의 바텀 브라켓은 아래에 있는 브라켓으로, 자전거 크랭크가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되어 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품이다. 크랭크가 원운동을 하기 위해서 바텀브라켓(이하 BB)에는 베어링이 적용된다. 바텀 브라켓은 제조사의 규격에 따라 정말 많은 이름이 있다.

 

내가 현재 사용하는 자전거는 과거에 BB30 이었고, 현재는 BB30의 단점을 일부 보완한 PF30이다. BB30은 캐논데일에서 만들었던 규격으로 BB의 크기를 크게하여 힘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소음이 생기는 단점이 있었다. PF30은 BB30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 졌는데, 이것도 소음이 있다. ㅋㅋㅋㅋㅋㅋ 대체 뭘 보완 한거냐 ㅋㅋㅋ BB30이 그냥 끼우는 타입이었다면, PF30은 좀 더 강력한 힘드로 Press해서 Fit하는 형태라 보면 되는데, 자전거 BB에 가해지는 힘이 하도 크다보니, Press하는 힘으로는 택도없이 찌걱찌걱, 딱딱딱 하는 소음이 나기 일수다. 이런 소음은 자전거 라이더에게 상당한 신경을 쓰게하여 자전거를 타지 않거나, 경명하는 지경에 이르게 한다.

 

BB는 재질에 따라 그게 스틸/세라믹으로 나뉜다. 스틸은 말 그대로 철로 만든 것이고, 세라믹은 말 그대로 세라믹, 즉 사기를 구워서 만든 것이다. 세라믹의 장점은 스틸보다 강도가 높고, 저항이 덜하다. 하지만 단점으로 강도는 높으나, 깨지기 쉽고, 가격이 비싸다. 또한, 베어링 볼은 강도가 높은 세라믹으로 만들어졌어도, 베어링 하우징은 철로 만들어져 하우징이 세라믹의 강도를 이기지 못해 기능고장을 초례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둘다 세라믹으로 만들면 안되나????). 세라믹도 일반 흰색 세라믹이 있고, 단점을 보완한 하이브리드 세라믹도 있고 여러가지가 있다.

 

내가 써 봤던, BB에 대해서 간략히 적으면,

 

첫번째, HSC Ceramic PF30 BB

자전거 프레임을 구입했을 당시 샾에서 함께 구입했던 BB다. 나는 당시 세라믹 BB라는것이 뭔지도 몰랐는데 일단 좋다고 해서 프레임과 함께 구매했다. 그리고 다른 샾에서 크랭크 등의 구동계를 조립 완료했는데, 얼마가지 않아(한 500키로 탔나?) 잡음이 나기 시작했다. 딱딱딱딱....프레임과 BB를 구매한 샵으로 가져가니까, 자기들이 설치 안했다고 발뺌해서, 구매 영수증 보여주면서 니들이 설치한건데? 그러니까 이번에 말을 바꿔서 오리발을 내밀었다. 나는 BB가 불량이니 교환해 달라고 했으나 사장놈이 불가능하다고 계속 오리발 내밀고, 중간에 미케닉이 나서서 중재를 시도했다. 내가 제시했던 합의점은 1) 새로운 BB와 크랭크를 해당 샾에서 구매설치(제품가격, 공임지불)하고 이후에 소음이 없어지면 BB가 불량인게 맞으니 비용을 환불해 달라 2) 내가 다른 모델의 BB를 구매해서 소음이 사라지면, 그것은 BB가 불량인게 맞으니 BB 구매액을 환불해 달라. 였다. 그렇게 합의하고 첫번째 테스트를 했는데, BB 소음이 또 났다. 특히 댄싱치면 딱딱딱하는 소리가 계속 났다. 샾에 전화해서 환불을 요구하니 말을 바꿔서 BB는 소모품이랜다. ㅋㅋㅋ 무슨 자전거 소모품이 100km도 안탔는데 수명을 다하냐? 장사치 놈들. 그래서 난 그 샾의 왕래를 끊었고, 추후에 같이 자전거를 타던 지인 너댓명들이 해당 샾에서 자전거를 구매하려길래, 내가 겪은 이야기를 해주고 자전거는 딴데서 사라고 했다.

 

두번째, ROTOR PF4624 BB 스틸베어링

앞서 언급한 BB소음으로 인해 구매했던 BB다. 세라믹의 구름성 다 필요 없고 BB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잡기위해 사용했던 BB로, 3개 정도 사용했다. 3개를 사용하는 동안 소음으로 인한 고충?은 단 한번도 없었다. 내구성도 괜찮고 가격도 괜찮은 BB 였다. 오랜 기간 사용하니 수명이 다했다. 주행거리로는 15,000km 가량 주행했다.

※ ROTOR라는 회사는 CNC 가공 기술이 상당한 회사이고, Q-ring 크랭크셋, 파워미터로 아주 유명한 스페인의 회사고 PF는 PressFit, 46BB쉘의 직경, 24는 엑슬(시마노 크랭크)의 직경이다.

 

세번째, Token Ninja 841T-46 스틸베어링

Token은 이름만 보면 일본 회사 같은데, 사실은 대만에 있는 회사라고 한다. Token은 예전에, 10년도 전에 카본 재질의 자전거 프레임이 엄청 고가일 때에 가성비가 좋은 휠셋을 만들던 회사로 기억한다. 어째튼, 그 회사에서 Ninja라는 BB를 만들었다. 사실 뭘로 바꾸지? 고민 중이었는데 Tripeak, 위시본, ROTOR 를 고려했었는데, 유투브에서 영상을 보고 이걸로 결정했다. 가격도 맘에 들었는데, 인터넷 가격으로 75,000원이고, 최저가는 6만원 후반대로 다른 제품보다 가격도 저렴하다.

설치하고 난 뒤에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모습은 아래 동영상과 같다. 시마노에서는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잘 도는 것은 크게 좋거나 나쁘다 이야기 할 수 없다고 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보기는 좋지 아니한가!!!

 

테스트 라이딩을 30킬로 절도 업힐, 평지를 타봤는데 소음도 없고 만족한다. 왠지 패달 회전이 더 잘되는 너낌적인 너낌이다.

 

 

 

반응형
Posted by 춤추는고양이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